지금 충북은 도약과 퇴보의 분기점에 서 있다. 한반도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변방과 같은 대우를 받아왔으니 발전하고 싶은 욕구는 엄청날 수밖에 없다. 충북이 신행정수도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만 있다면 전성기를 맞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주의 경쟁력을 갖추는 게 급하다. 3수 끝에 통합에 성공한 청주를 대전·세종·천안 등과 경쟁할 수 있는 도시로 발전시키지 못하면 오히려 도태당할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내년 7월 1일 통합시를 발족해야 하는데 중앙으로부터 예산지원이 여의치 않다. 여야 대선후보들이 경쟁적으로 통합 시 발족을 지원하겠다고 공약했지만 정작 내년도 예산에는 거의 반영되지 않고 있다. 한마디로 비상사태다. 만약 대선후보들이 공약한 예산을 지원받지 못하면 통합은 하지 않는 것만도 못할 수도 있다.

당연히 충북의 모든 세력이 결집해서 공약이행을 압박해야 하지만 사분오열되어 싸우느라 여념이 없다. 여야의원 정책간담회를 열기도 했지만 생색을 내거나 책임 전가에 급급할 뿐 책임지겠다는 사람은 없다. 설령 여야가 힘을 합친다고 해도 지역 여론을 중앙 핵심부에 전달할 만한 인물도 마땅찮다.

현오석 부총리가 있지만 정치권을 설득할 만한 입장은 아니다. 한나라당 시절만 해도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윤진식 의원이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라는 평을 들었지만 아직 그런 정치인은 없다.

야권 핵심부에 지역 여론을 전달할 인물이 없는 것도 마찬가지다. 홍재형, 이용희 의원 등 원로 정치인이 퇴임한 후 야권 지휘부를 움직일 만한 실력자가 없다. 그렇다면 각계로 분산된 힘을 결집하는 일부터 서두르는 게 순서다.

이런 일은 당연히 도지사가 해야 하는데 이시종 지사의 입지가 예전 같지 않다는 게 문제다. 지난 국감 시 민주당 의원들로부터 난타당하는 모습을 본 도민들은 이시종 지사의 정치력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민주당의 지원도 받지 못하는 도지사가 여권의 협조를 얻는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도지사가 구심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시민단체라도 나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문제는 더 심각해 보인다. 야성형의 시민단체는 여권과는 대화조차 단절되어 있고, 보수단체 또한 야권과 공조가 어렵다.

모든 문제의 근원은 선거다. 지방자치에 정당공천제도가 도입됨으로써 지역사회가 사분오열될 수밖에 없었다. 공천제를 폐지하겠다고 공약했던 정치권이 약속을 이행할 것이란 보장도 없다. 그래서 가장 시급한 현안이 지역역량을 결집하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의 분발이 절실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