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중심, 웅비하는 충청/충북

▲ 충북경제자유구역 바이오메디컬지구와 리서치&관광, 비즈니스지구의 중심이 될 오송 첨단의료복합산업단지와 아파트 단지 항공 촬영 사진.

태양과 생명의 땅 충북이 ‘신 수도권시대’의 중심으로 도약을 꿈꾸고 있다.

생명·태양광·유기농에 이어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인 ‘화장품뷰티’ 산업도 일찌감치 선점했다. 100년 먹거리 창출 기반을 조성키 위해 노력하던 충북의 노력은 최근 청주·청원 통합 결정, 충북 경제자유구역 확정, 혁신도시 조성 등 최고의 호재를 맞았다.

세종시 출범으로 자칫 대전·충남권에 예속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속에서 충북의 볼륨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이다. 충북의 장밋빛 미래 실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짚어봤다.

 

▶인구 100만 도시 탄생

역사적인 통합 청주시가 내년 7월 1일 출범한다.

통합 청주시의 면적은 942.2㎢로 서울시의 1.6배이고 인구는 82만여명으로 충북 전체 인구(156만여명)의 절반을 넘는다. 2019년 인구 100만명 돌파가 예상된다. 청주시를 거점 도시로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2생명과학단지, 오창과학단지, 오창2산업단지,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연계한 광역도시 발전계획 수립이 가능해졌다. 인근 세종시, 대전시와 연계한 중부권 핵심도시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중부거점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사통팔달의 교통망도 이미 갖추고 있다. KTX 오송역을 거점으로 인근 역세권인 대전과 천안을 연계한 지역성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북청주역 신설과 수도권 전철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사업, 청주국제공항을 활용한 여객수요는 물론 항공정비업 활성화도 가능하다.

 

▶국비지원·주민갈등 봉합 필요

하지만 통합청주시의 희망찬 전망을 실현시키기 위해선 선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가장 시급한 것은 통합에 따른 직접비용의 국비 확보다.

내년 7월 1일 서비스가 실시돼야 하는 통합 청주시 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비용과 신설되는 2개 구청의 건립비용, 시청사 설계비 등 수백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통합비용이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한 푼도 반영되지 않은 상태다.

비용 문제와 함께 두 지역 주민간의 갈등 해소도 최대 해결과제로 꼽힌다. 이미 통합시청과 4개 구청의 위치와 통합시 명칭을 놓고 적지 않은 갈등을 빚기도 했다.

다른 지역의 통합에서도 청원처럼 농촌을 많이 낀 지역에서 ‘흡수 통합’과 같은 정서적 거부감이나 예산 편중, 혐오시설 입지 등 논란이 거셌다.

 

▶충북 경제자유구역 확정

충북 경제자유구역 계획은 5년여 동안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올 9월 결실을 보게 됐다.

충북경자구역은 오송바이오밸리와 청주공항, 충주를 하나의 벨트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다. 청원군 오송읍 연제·봉산리 일원 ‘오송바이오밸리’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메디컬지구’, 오송2생명과학단지에 교육·생산·주거·상업시설이 들어서는 ‘리서치&관광·비즈니스지구’로 구성돼 있다.

청주공항을 중심으로는 ‘에어로폴리스지구’를 만든다. 항공여객·물류, 쇼핑, 비행교육, 헬기운송 등이 어우러진 복합항공단지로 개발한다. 충주 가금면 일원의 ‘에코폴리스’는 자동차 부품산업의 글로벌 허브를 구축하고 수변공간·온천 등을 활용한 바이오휴양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충북도는 2020년까지 경제자유구역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지면 2만2천여개의 새 일자리가 생기고 인구유입 9만여명, 생산유발 2조5천292억원, 부가가치유발 1조489억원 등 4조1천825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날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국기업·민간자본 유치 전제

그러나 이런 전망들은 우수한 외국 기업과 민간자본을 끌어온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경자구역 성공의 관건은 외국기업 및 민간자본 유치다.

이미 조성된 타 시·도 경제자유구역이 외자유치 부진으로 무늬만 경제자유구역으로 전락한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외자유치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바이오메디컬지구와 리서치&관광비즈니스지구는 기반조성이 돼있어 사업추진이 다소 원활한 반면, 충주에 조성되는 에코폴리스지구는 아직 구체화된 투자계획이 없어 원활한 사업추진이 우려되고 있다.

 

▶충북혁신도시

우리나라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겠다는 기치를 내건 충북혁신도시 조성사업은 마무리 단계다.

혁신도시는 세종시, 기업도시 등과 같이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을 통한 국가균형발전과 지역성장거점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는 국가전략사업이다.

충북혁신도시는 2004년 당초 충청권 혁신도시 배제에 따라 입지선정이 지연되면서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가장 늦게 추진되기 시작했지만 공정 만회 대책회의, 사업기한 단축노력 등으로 올해 말 한국가스안전공사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에 공공기관 이전이 잇따를 예정이다.

충북혁신도시의 가장 큰 장점은 사통팔달 교통이다. 대한민국 중심부에 위치해 전국 10개 혁신도시 중 수도권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다. 기업과 물류활동의 최적지이며 전국 혁신도시 중 유일하게 산업용지 17만평을 갖추고 있는 것도 장점이다.

 

▶미흡한 정주여건

그러나 주거시설과 교육시설, 편의시설 등 정주 여건 부족으로 입주 초기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7월까지 충북혁신도시에 이전하는 5개 공공기관 직원은 1천350여명에 이른다. 가족과 함께 충북혁신도시로 이사할 직원은 주거시설과 병원·상가·대중교통 등 편의시설 부족을 감수해야 한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내년 중반기 이후에나 일부 입주를 시작해 주택난이 불가피하다.

유·초·중학교는 내년에 문을 열지만 고등학교는 2015년 이후 개교할 예정이다. 아파트와 상가가 들어서지 않다 보니 병원 개원도 당분간 어려운 데다 음성군이 맹동면 두성리에 신축하는 보건지소도 내년 8월에나 준공된다.

산업용지 분양률이 저조한 것도 문제다. 산업용지 56만6천㎡, 클러스터 용지 20만7천㎥ 등 기업이나 태양전지종합지원센터 등에 팔 용지 77만3천㎡ 중 분양면적은 20% 수준에 불과한 상황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