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초 충북 청주지역에서 홀로 살고 있는 노인들이 숨진 후 수일이 지나서야 발견된 사건이 3건이나 잇따라 발생해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사람들과 접촉을 끊고 사회 속 외톨이가 된 노인들이 주변의 무관심 속에 쓸쓸히 생을 마감하는 이른바 ‘고독사(孤獨死)’의 문제이다. 생전의 고독함이 죽음까지 이어지고, 시신이 사망 후 한참 지나서야 발견될 뿐만 아니라 사후에 시신 수습을 해 줄 사람조차 없는 가슴 아프고 기막힌 현실이 아닐 수 없다. 

해마다 증가하는 독거노인 인구를 감안할 때 고독사 문제를 강건너 불구경할 일이 아니다. 통계청의 ‘201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는 2000년 222만에서 2010년 414만명으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 535만 7천명 가운데 홀로 사는 노인은 22.4%인 120만1천여명이다. 2035년에는 독거노인의 비율이 38%(343만명)로 증가할 것으로 추계된다. 혼자 사는 노인이 증가 하면 노인 자살이나 고독사가 늘 수밖에 없다. 실제로 독거노인이증가함에 따라 고독사 발생 비율도 2000년 3.7%에서 2012년 6.6%로 거의 2배가량 늘어났다. 그러나 정부는 이에 대한 뾰족한 대책 마련을 못하고 있다.

노인의 고독사는 현대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병폐라고 한다. 하지만 가족이나 이웃도 모르게 누군가 홀로 죽음을 맞이하고 그 시신마저 오래도록 방치되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 이웃집에 누가 사는지 모르는 게 당연한 사회분위기는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1인가구가 늘어나는 요즘 고독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무연사·고립사 등 모든 외로운 죽음을 포괄하는 의미로서의 고독사는 사회안전망과 공동체의 건강성을 경고하는 신호이다. 정부는 그 심각성을 인식하고 각별한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고독사 저변에는 빈곤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만큼 저소득층 1인 가구를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에 신경 써야 할 것이다. 또 고립을 막기 위한 대인 활동 등 예방차원의 지원이 중요하다. 독거노인의 경우 사회적으로 단절되지 않게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식적·비공식적 사회관계 유지를 통해 대인관계를 지속한다면 사회적 관계가 단절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고독사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일본 정부가 고독사 예방 사업을 재해예방 대책으로까지 보며 적극 나서듯 우리 정부도 고독사 긴급전화나 가스·전기검침원이나 신문배달원 등과 연계한 안전확인 서비스 등 관련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이웃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역사회 공동체 복원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도 면밀하게 이뤄져야 한다. 노인들이 1인가구로 남게 하지 않도록 새로운 공동체 모색 등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고독사의 문제는 단순히 타인의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내가 직면할 수 있는 미래의 상황이기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더욱 중요하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