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상호저축은행들의 부실 대출 규모가 수조원으로 달한 것으로 조사되고 경영상태가 부실한 상호저축은행들이 연이어 파산하거나 영업정지 받으면서 상호저축은행에 대한 감독당국의 보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일반 국민들도 금융기관 선택시 해당 은행의 재무상태를 꼼꼼히 살펴봐야 은행 부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은행이 재무상태가 상대적으로 양호한 은행일까?

은행은 고객이 예금으로 맡긴 자금을 기업 대출이나 채권 투자 등의 방법으로 운용한다. 이 과정에서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거나 투자 손실을 입는 경우 은행 경영이 부실하게 되고 만약 부실 정도가 심해 은행이 문을 닫게 되면 수많은 예금자가 손해를 보게 됨은 물론 금융시장 전체에 큰 혼란을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고객을 비롯해 경제 전체에 있어서도 은행의 재무상태가 얼마나 건전한지를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의 기준으로 널리 이용되는 지표가 바로 BIS자기자본비율이다.

BIS자기자본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에서 제정한 재정건전성 지표로 은행의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계산하며 국제결제은행은 동 비율을 8%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여기서 자기자본이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을 의미하며 위험가중자산은 은행이 보유한 자산의 위험도가 높을수록, 즉 대출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 손실을 볼 가능성이 클수록 높은 위험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면 현금이나 국채 등은 부실 위험이 없으므로 0%의 가중치가 적용되고 일반 기업에 대한 대출은 기업의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적용되는 가중치가 커진다.

BIS자기자본비율은 은행이 보유한 위험가중자산(자기자본)이 적을수록(많을수록)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성공적인 재테크는 안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다.

은행의 재무건정성에 대한 판단없이 높은 이자율만을 투자의 기준으로 삼는다면 이번 상호저축은행 부실 사태와 같은 큰 낭패를 보는 경우가 다시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향후 예금을 맡길 때에는 수익성을 꼼꼼히 따져보듯이 해당 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 등 재무건전성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김관희 충북본부 과장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