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권택 감독 영화 ‘달빛 길어올리기’

잊혔는가, 잊었는가. ‘잊다’에 뿌리를 둔 두 단어의 해석과 의미에는 차이가 있다. 피동이냐 능동이냐에 따라 다른 느낌이 된다. 임권택 감독의 101번째 영화 ‘달빛 길어올리기’는 잊혀가는 전통 한지를 복원하려는 마음과 그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는 계몽적 성격이 짙다.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 우리나라 역사의 자랑이라 할 만한 한지의 존재가 어떻게 잊혔는 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다큐라는 장르 때문에 지루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원로 감독은 극 전반에 드라마와 코믹 요소 등을 두루 깔아놓았다. 감독은 전통과 현재가 조화를 이루며 전진해나가는 것을 바라는 것처럼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는 시도를 했다.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해 영상미를 더한 것도 그런 노력 가운데 하나다.

임 감독 영화 특유의 번민과 고뇌는 여전하다. 판소리와 동양화를 소재로 한 ‘서편제’와 ‘취화선’ 등에서처럼 임권택식 전통의 아름다움이 한지를 통해 고스란히 배어났다.

이번 고뇌의 짐은 공무원 한필용(박중훈)에게 지웠다. 전주시청 한지과로 오게 된 필용은 시의 관심사인 ‘조선왕조실록 복본화’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힘쓴다. 승진을 기대하는 동시에 자신의 불륜 탓에 충격받고 쓰려져 불편한 몸이 된 아내 이효경(예지원)을 향한 죄책감을 만회하려는 마음도 있다. 다큐멘터리 감독 민지원(강수연)에게는 또 다른 짐을 지웠다. 임 감독의 사명감 혹은 책임감이 투영됐다. 지원은 좀 더 정열적이고 많은 것을 알고 공부한 임 감독의 분신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지원이 취재 과정에서 화선지와 한지의 차이점을 알게 된다거나 세계 속 한지의 위상을 이야기하는 것 등이 그렇다.

필용과 지원은 전통 한지 복원사업에 뛰어들었다는 점에서 지향점이 같다. 그렇지만 그 과정의 관계는 갈등과 화해라는 드라마틱한 요소를 지닌다. 정이 들고 조화를 이루려는 관계에 소소한 일상생활을 담았다. 진한 감정을 느끼는 두 사람, 그리고 남편의 이상한 점을 알아채고 위태로워 보이는 효경에 이르면 극은 정점을 찍는다.

지공예에 조예가 깊던 효경의 불편한 몸은 전통 한지의 모습과 닮아 가슴이 시리게 한다. 하지만 그녀는 꿋꿋하고 강인한 모습을 드러낸다. 한없는 약자로만 그려지지 않는다. 한지도 마찬가지다. 살아 꿈틀거리는 것 같은 느낌을 풍긴다. 그래서 희망적이고, 긍정적이다.

‘지승요강’ 등 한지로 만든 전통 물건을 소개하고, 산 속의 폭포, 달 밝은 밤을 보여주는 것은 덤이다. 김동호, 김영빈, 민병록 등 국내 국제영화제 전·현직 위원장과 임 감독의 부인 채령씨 등이 카메오로 참여했다. 17일 개봉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