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토록 기승을 부리던 무더위와 태풍도 물러가고 이제 아침저녁으로 제법 쌀쌀한 바람이 불어온다. 여름철 후덥지근한 습기가 물러가고 건조해지는 공기의 영향으로 가을의 특징은 건조한 공기와 밤낮의 큰 기온차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가을철이 되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이나 노약자들은 호흡기질환이나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가을은 여름철 무더위에 지친 몸을 추스르고 다가올 겨울철의 건강유지를 위해 몸의 건강상태를 점검해야 할 시기이다.

한의학의 기본이론인 음양오행에 따르면 가을은 금(金)의 기운에 해당하며 그 성질은 조(燥), 즉 건조함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가을엔 나무도 수분이 말라서 낙엽이 떨어지게 되고 사람 또한 체내의 수분, 즉 진액이 고갈되는 증상이 쉽게 발생한다. 더욱이 일교차가 큰 계절의 특성상 인체가 새로운 기후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함으로 인해 외부환경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정상적 생리활동의 유지가 어려워져 각종 질환을 야기하기 쉽다. 감기를 비롯해 축농증, 비염 등의 호흡기질환과 원기부족, 불면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가을철에 많아지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흔히 많은 사람들은 보약을 봄과 가을에 복용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추위를 지나 따뜻한 계절로 들어서는 봄이나 무더위를 넘기고 기온이 떨어지는 가을이야말로 인체가 계절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무기력증에 빠지거나 자칫 발병으로 이어지기 쉬워 보약을 복용하기에 안성맞춤인 계절임은 분명하지만 보약자체는 계절과는 상관없이 자기의 건강상태에 맞춰 복용여부를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한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전체적인 조화를 염두에 두고 각종 처방이 행해지는 보약은 단순히 몸을 보하는 약이 아니라 보사(補瀉)의 원리, 즉 모자라는 것은 도와주고 남는 것은 깎아내려주는 원리에 의해 건강의 핵심이 되는 기(氣)와 혈(血)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다. 하지만 보약을 먹으면 무조건 몸이 좋아질 것이라는 그릇된 상식으로 무턱대고 보약을 복용할 경우 오히려 ‘지나침은 모자람보다 못하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약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한의사의 정확한 진찰과 그에 따른 처방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