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속의 생명’ 주제의 2002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가 24일 한달간의 일정을 마치고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세계적으로 바이오와 관련한 장기간 행사가 열린 것은 이번 오송엑스포가 처음이다.

충북도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주최한 오송엑스포는 농업혁명, 정보통신혁명에 이어 제4의 물결로 바이오테크생명이 도래하고 있는 것에 맞춰 충북도가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오송행명과학단지를 세계적 바이오 메카로 육성하기 위해 개최됐다. 또한 바이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국민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세계 석학들이 참여하는 바이오 학술대회를 유치, 연구·학술·정보의 집적 및 교류의 계기 조성도 개최 목적 가운데 한 이유였다.

이번 오송엑스포는 많은 성과를 거둔 반면 남긴 과제도 만만찮다.
충북도가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개최 계획을 발표하자 주위에서는 일반인들의 관심이 저조, 입장객 유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나 지난달 25일 개장과 함께 몰려드는 관람 인파로 예상인원을 훨씬 뛰어넘은 80만명에 육박, 당초의 우려감을 말끔히 씻어냈다.
오송엑스포는 개장 첫날 1만6천387명이 관람한 것을 시작으로 행사 닷새만에 10명을 돌파, 행사 초기부터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면서 개천절인 지난 3일 20만명을 넘어섰으며 11일에는 예상인원 45만명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엑스포조직위는 계획 입안 당시 하루 입장객을 1만5천명으로 잡아 45만명이 행사기간동안 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폐막을 이틀 앞둔 22일 현재 입장객은 총 76만1천여명을 기록했다. 이는 행사 구성이 관람객 참여 부문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관람객들로부터 큰 인기를 끈 체험관은 연일 많은 인파가 몰려 제한입장을 시킬 정도였다.

이 곳은 골밀도, 뇌혈류 등의 기초건강 검진을 즉석에서 할 수 있어 특히 노년층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반면에 어린이와 청소년층은 인체장기기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걸리버인체여행을 비롯해 바이오실험실, DNA추출실험 등에 흥미를 나타냈다. 바이오 관련 연구기관 및 개발업체 관계자들은 7차례의 학술회의와 비즈니스포럼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학술회의에는 세계 최초로 줄기세포를 발견한 미국 위스콘신대 체임스 톰슨 교수, 에이즈바이러스를 이용해 유전자 치료법을 연구중인 미국 유전학연구소 인더 버마 소장, 인간게놈기구 회장인 일본 도쿄대 사카키 요시유키 교수, 198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 막스플랑크생물학 연구소 하르트무트 미헬 박사 등 세계 생명과학계를 주도하는 석학 100여명이 연구 결과 발표와 함께 열띤 토론을 했다.

학술회의가 열릴 때마다 이들의 강연을 듣기 위해 매회 500∼600여명의 생명공학도와 바이오 관계자들이 학술관 좌석을 메웠다.
이같은 외형적인 성공을 어떻게 오송엑스포의 개최 취지에 맞게 이끌어 가야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충북도는 ‘포스트 엑스포’를 준비하고 있으나 개최 취지에 맞게 오송생명과학단지의 활성화에 맞는 개최 상황은 현실에 맞게 돌아가지 않고 있다. 우선 오송산업단지 편입 지역내 주민들의 반발이 심상치 않다.
주민들은 토지보상 현실화 차원을 넘어 아예 단지조성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 첫 삽을 뜨기 전에 주민들의 반대로 착공초차 어려운 실정이다. 충북도와 한국토지공사는 지난달 24일 엑스포 개막식과 병행해 오송산단 기공식을 가질 계획이었으나 편입토지 대상 지역의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무기한 연기했다.

오송단지는 애초 지난 1997∼2006년까지 청원군 강이면 일원 141만평에 사업비 3천900여억원이 투입돼 보건의료관련 기관 및 산업체, 음식료 제조업체, 의료·정밀·광학기계 및 시계제조업 등의 산업체가 들어설 계획이었다. 현재 오송단지에 입주하기로 한 정부산하기관은 국립보건원, 국립독성연구소, 식품의약안전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등 국책 연구기관 외에는 개별 연구·기관 및 개별 사업체가 없다. 충북도 등은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실시한 입주수요조사에서 3개 국가기관을 포함한 159개 업체가 입주를 희망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주민들은 현재 토지보상가격의 현실화를 내세우며 오송단지 조성의 백지화를 요구하며 엑스포 행사 기간 내내 엑스포장 정문 앞에서 ‘1인 릴레이 피켓’ 시위를 벌이며 지속적으로 반발하고 있다. 이 기초적인 문제 해결이 미뤄질 경우 오송단지의 조성은 난망한 실정이다. 또한 이번 엑스포에 국내·외 227개 기업과 연구단체, 정부 등이 참가했지만 실질적으로 오송단지에 입주할 업체는 미지수이다. 최근 대통령 선거와 관련해 충부지역을 찾는 대선 후보들도 오송단지 활성화를 위해 각종 대책을 발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들 대상 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 등의 유인책 결정이 중앙정부 권한에 묶여 차후 어떻게 진행될지는 지방정부인 충북도로서는 제3자 입장에 처해 있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