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비리 수사로 공직사회를 정조준 했던 사정기관이 이번엔 교육계로 칼끝을 겨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3일 국무회의에서 출범 3년차를 맞아 토착비리와 함께 교육비리 척결을 주문하면서부터다. 때늦은 감이 있지만 이번엔 성과가 있을지 주목된다. 교육 현장이 각종 비리의 온상인 점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교육감이나 정치권 선거 줄서기, 각종 학교 공사 입찰 비리, 금품 수수, 성추행 등이 끊이지 않았다. 그런데도 처벌은 늘 솜방망이라 뿌리가 뽑히지 않았다. 최근 장학사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게 해주겠다며 수천만원의 금품을 챙긴 현직 장학사 독직사건은 충격적이다. 매관매직이 아닌가. 뇌물을 주고라도 장학사를 원하는 것은 이른바 ‘물 좋은 지역’에 학교장으로 쉽게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교육계 비리 사슬이 얼마나 단단히 얽혀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교육계의 비리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교육계는 자정 능력을 잃은 지 이미 오래다. 무슨 편법을 쓰든, 심지어 적발되지만 않으면 불법을 자행해서라도 원하는 것을 얻기만 하면 된다는 비뚤어진 인식과 행태가 교육계에 팽배하다. 이런 인사들이 미래 국가 동량이 될 우리 2세 교육을 책임지고 있다니 눈앞이 캄캄하다. 비록 일부 사학과 교육계 인사에 국한되는 것이라고 하지만 과연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인가 싶을 정도다.

교육계의 비리는 반드시 척결돼야 한다. 검찰과 경찰은 교육관련 비리 유형이 다양화되고 하부조직까지 점차 확산되는 등 고질적인 신종부패로 토착화되는 징후가 농후하다며 강력한 수사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특히 교육계의 고질적인 병폐가 심각하다는 대통령의 언급에 검찰과 경찰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고 있어 지역 교육계에 미칠 파장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따라서 사정기관이 고질화된 교육비리 척결에 칼을 빼든 만큼 이번엔 비리로 얼룩진 교육계가 새로 태어나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