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부 슬픈 여행

찾아오는 친구도 없다 싶으면, 책도 읽고 글도 쓸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아침에 눈을 뜨면 신문을 읽고, 아침을 먹고 나서는 출근하는 사람처럼 사무실로 가서 하루를 보낼 수 있으면 좋겠다. 온종일 집구석에서 쑤셔 박혀 사는 건 답답하다. 놀아도 뭔가 타이틀이 하나 있어야한다.

“뭐가 좋을까?‘

신문기자 출신이니까 언론사 간부 타이틀이 제격이다. 신문사 논설위원쯤으로 타이틀을 걸어놓고 일주일에 한두 편씩 칼럼을 쓰면 좋겠다.

자기가 쓴 글이 신문에 나는 것을 보고 흐뭇해하며, 은근히 친구들에게 뻐기기도 하는 생활을 하고 싶다.

‘모든 일은 다 때가 있는 법인데….’

지금이 바로 그때다. 나이로 보나 경륜으로 보나 그런 일을 하기가 가장 좋을 때다.

아직도 저 땅은 팔일 가능성이 없다. 다 늙어 꼬부라진 뒤에 땅이 팔려 돈을 가진들 무슨 소용이랴. 철지난 해수욕장이고, 막 내린 연극무대이고, 장꾼들이 철시한 장터이고, 버스 떠난 정류장 아닌가.

한 노인이 공사장 주변에 흩어진 신문지나 빈 병 등을 주워 리어카에 싣는다. 이젠 됐다 싶은지 출발하려고 한다. 짐이 너무 무거운 탓인지 꼼짝도 하지 않는다. 창빈이가 보기엔 짐이 많은 것 같지도 않아 보이는데 움직이지 않는다. 그런 일을 하기에는 너무 늙었다.

“할아버지! 제가 밀어 들릴까요?”

“고마워유.”

창빈이가 뒤에서 밀자 리어카는 쉽게 움직인다.

“노인양반이 왜 이렇게 힘든 일을 하세요?”

“누군 하고 싶어서 하나요?”

무슨 말인지를 더 하려고 하다가는 입으로 삼킨다. 쓸쓸히 웃고 만다. 자식이 없거나, 있어도 본 척도 하지 않는다는 소릴 하고 싶을 것이다.

“몇 월생이세요?”

“8월에 났어유. 근데 왜 유?”

뭘 볼 줄 아느냐는 질문이다. 금인(金人)이 분명하다. 금인이 가을에 낳으니 군겁쟁재 사주다. 자기뿐이 모르는 성격이다. 이기적인 삶을 살았을 것이다. 자기중심적인 사고 때문에 마누라가 견뎌내지 못 했을 것이다. 재산도 남아나질 못했을 것이다.

“혼자 사시죠?”

“그걸 어떻게 알아유?”

“다 아는 방법이 있어요, 얼마 있으면 좋은 일이 있을 것 같네요.”

“정말유?”

“두고 보세요.”

“늦게라도 팔자가 좀 펼라나?

노인의 주름진 얼굴에 희망이 스친다, 그것도 순간이다. 이 나이에 무슨 좋은 일이 생기겠느냐는 절망감이다.

노인의 쓸쓸한 웃음 속에 자신의 외로운 미래가 보인다.

“이렇게 하시면 하루에 얼마나 버세요?”

“돈은 무슨 돈. 그냥 소일 삼아 하는 거유.”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