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은 ×, 국어도 ×, 영어는 ○, 과학은 △…”.
방학을 맞아 보충수업을 끝낸 청주의 A여고 학생 5명이 분식집에 둘러앉아 교사들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

기자가 평가 기준이 뭐냐고 물었더니 “수업 시작 때 꼭 2, 3분 늦게 들어와서, 이 반은 오늘 어디 할 차례냐고 묻고, 잘 하는 애 한테만 질문하고, 설명 못 알아들으면 학생들만 나무라고, 그러면서 과제만 잔뜩 내고…”라며 말을 계속 이었다.

교직생활 10년째, 30대 후반이라는 한 교사는 “학생들은 언제나 교사를 평가해 왔다. 누구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을 뿐”이라며 말머리를 돌렸다. “교사 임용 후 보통 5년까지는 소명의식을 갖고 열심히 해 보려고 하죠. 교재 연구, 수업 준비, 평가 하나하나에 목숨을 거는 자세로 임하지만 이내 지쳐버립니다.

수업 잘 하는 것보다 행정 처리 능숙하고, 연구과제 따 오고, 윗 사람들한테 잘 보이는 게 편하고 승진에도 도움이 되니까요” 교사들에 대한 제자들의 존경심마져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3월 퇴직한 한 교사는 “수업이나 일 좀 잘 한다 싶으면 장학사 시험을 치고, 교감 교장 승진하려 애쓰는 분위기이고 보니 학생들 가르치는 일은 뒷전이 된 느낌”이라고 안타까워 했다.

최근의 교육 위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교사들에 대한 학생, 학부모의 신뢰가 떨어진 점도 크게 작용했다. 학원에서 교과 내용을 먼저 배우고, 시험 준비까지 해 주는 상황에 학생들이 학교 수업에 집중할 리 없다. 교사들을 학원 강사와 비교하는 좋지않은 버릇도 생겼다.

한 교사는 “사립고에 비해 공립고의 수능결과가 대체로 나쁜데 것은 학교에서는 원칙과 교육청 지침만 따져 공부를 제대로 안 시킨 것이 원인이다”며 “어느 고교에 배정받느냐에 따라 대학 진학이 달라지는 것은 누가 책임지느냐”고 말했다.

사설학원은 두달에 한번씩 강의 평가를 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강생들이 내리는 평가 점수가 핵심. 이에 따라 강의 시간표가 새로 짜여지고, 기준치 이하 평가가 세차례 나오면 해고된다. 사교육 기관의 방식을 도입하자는 얘기는 아니지만, 교육 수요자를 중심에 두는 철저한 상업주의에서도 충북 교육이 새겨볼 부분은 적지 않은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