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화의 사전적 의미는 ‘하나로 만듦’이다. 하지만 그 속에는 긍정적 의미가 스며들어 있다.

‘통일’이 지고지선의 목표로 자리잡듯이 ‘단일민족’이란 말에 자부심을 느끼는 듯 말이다.

1987년 대선에서 YS와 DJ가 단일화에 실패해 결국 노태우 후보에게 뼈아픈 패배를 했다는 아쉬움이 후보 단일화에 긍정적인 의미를 더했다. 이후 대선에서 DJ와 YS가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후보 단일화’란 용어를 사용했다. 이 같은 단일화에 대한 맹목적 인기와 추종은 이질적 정치세력의 이합집산식 결합이 대권을 거머쥔 과거에서 찾을 수 있다. 1992년 김영삼 정권의 탄생은 1990년 민주정의당 노태우 대통령, 통일민주당 김영삼 총재, 신민주공화당 김종필 총재의 단일화 합당으로 가능했다. 1997년 김대중 후보의 집권 역시 충청권의 김종필, 산업화의 기수 박태준 DJP 연합이란 단일화로, 2002년 대선 노무현 후보의 당선 역시 정몽준 후보와의 단일화로 가능했다.

이런 반복의 역사는 2007년 대선 주자들에게 계산된 분열과 의도된 단일화가 곧 대선 승리환상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97년 대선에서 DJP 연합은 이러했다. DJ가 2천원짜리 담배 한 갑을 사려는데 돈이 1천900원 밖에 없었다. 그러자 JP에게 100원을 빌려 주면 담배를 사서 반 갑을 나눠주겠다고 제안한 것이다. JP에게 국무총리직과 상당수 장관의 임명권. 총선에서의 공천권을 약속하고 그 대가로 자신을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 때도 ‘DJP 단일화’ 때와 비슷한 일이 있었다. 정씨가 노 후보에게 “당선 시 어떻게 해줄 것인지 각서를 써 달라”요구 했다가 거절당한 게 선거전 마지막 날 지지를 철회한 큰 이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당시 노무현, 정몽준 후보의 지지율은 각각 20% 초반에서 오르내렸다. 1위를 달리던 이회창 후보는 30%후반에서 정체 상태였다. 산수만 할 수 있어도 단일화는 승산이 있는 장사임을 알 수 있었다.

후보 단일화 막후에는 늘 ‘권력 나눠 먹기’의 뒷거래가 따르게 마련이다.

이번 12월 대선 역시 ‘후보 단일화’ 신화에 매달리는 역사의 반복을 거듭하고 있다.

그동안 DJ는 여권 후보를 향해 “양당정치가 우리 국민의 본성에 맞다”거나 “국민은 이번 대선에서 여야의 일대일 대결을 바라고 있다“며 후보단일화 발언에 앞장섰다.

이에 보답이라도 하듯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지난 12일 가칭 ‘대통합민주당’의 합당 및 후보단일화에 합의했다가 실패했다. 140의석 대 8석이 1대1 합당을 한에 대해 민주신당에서 강력히 반대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동영 후보는 단일화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여권 단일화 시도는 정답이 아닌 또 하나의 이유는 명분이다. 이명박 당선 저지 말고는 어떤 명분도 없다. 이인제 후보는 진보 성향의 정 후보와는 노선이 분명히 다르다. 공통점이 없는 후보들끼리의 단일화는 무조건 이기고 보자는 야합이다.

추진 동력도 과거에 비해 약하다. 5년 전에는 현직 대통령인 DJ의 강력한 지원이 있었다. DJ는 지금 단일화에 앞장서고 있지만 전직 대통령일 뿐이다. 현직인 노무현 대통령은 단일화에 소극적이다. 문국현 후보는 단일화 자체는 물론 범여권이란 표현조차 거부하고 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아예 단일화 애기만 나와도 알러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원칙도 명분도 없는 단일화는 국민의 눈속임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내년 4월 총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고 흡수 당하는 쪽은 총선 출마기회를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망설이는 것이다. 이제라도 여권은 잘못된 과거 부분을 솔직히 인정하고 개선책을 국민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국민들을 안심시켜야 한다. 과거가 아닌 미래지향적이고 생산적인 대안을 계속 내야 돌아 선 지지층의 마음이 흔들리고 부동층도 움직일 것이다. 단일화를 용인하는 것도 심판하는 것도 국민의 몫이다. 정치는 그 나라 국민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 이번 대선에도 단일화가 위력을 발휘할 지, 허상일지 두고 볼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