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 새마을금고에서 발생된 금융사고는 내부 감시와 견제기능이 철저한 새마을금고에서 발생됐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충북지역에서 일부 신협과 신용금고 등이 엄청난 부실로 인해 파산절차를 거치고 있는 것과 달리 새마을금고는 부실금고 통·폐합 등 구조조정으로 위기를 극복하는 등 금융사고로 인한 폐해가 비교적 적었던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강서 새마을금고 임직원이 개입된 16억원 부실대출 사안은 새마을금고 연합회의 감사와 도지부 감사, 자체감사 연 4회의 내부 그물망을 뚫고 발생됐다는 점에서 시사하는바가 크다.

아무리 새마을금고가 내부적으로 감시와 견제기능이 우수해도 내부인이 결탁해서 빚어지는 금융사고를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결국 금융사고가 발생될 때마다 거론되는 금융인의 도덕적 책임과 자세가 새삼 중요하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 새마을금고 직원들이 금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문성이 부족한게 현실이다. 수차례의 감사에도 부실이 포착되지 않는 것은 부실한 감사를 했거나 내식구 감싸기 차원의 안일한 자세가 개입됐다는 반증이다.

감사가 진행될 때 여·수신은 물론 잡다한 일반업무까지 세세하게 다뤄야 하기 때문에 자칫 수박 겉핥기식 감사에 그칠 수 있다는 점도 재삼 인식돼야 한다. 새마을금고 연합회 충북도지부는 이번 사태를 조속히 매듭짓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금융사고가 자칫 충북지역 대다수 우량 새마을금고에 대한 고객들의 불신으로 이어져 영업활동 위축 등 선의의 피해발생을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지부 관계자는 “부실이 발생되면 자체 조성한 예금자보호기금(안전기금)으로 고객들의 예탁금을 보호하고 있어 이번 사고로 고객들이 입게될 피해는 전혀 없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충북도지부는 금융권에 대한 고객들의 불신의 골이 깊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거듭나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