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이 떨어지는 가운데 고령인구가 늘어나면 먼저 노동생산성이 감소할 것이고 이에 따라 국가적으로는 세수가 줄어들어 재정적자가 확대될 것이며 가계소득도 줄어들 것이 분명하다. 해서 나라에서는 갖가지 방안을 강구하며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에 골몰하고 있다. 나라 경제의 이러한 염려와 더불어 지금 지방 도시에서는 인구 감소에 대해 또 하나의 커다란 고민을 안고 있는데 바로 해마다 다르게 줄어드는 인구의 유출문제다. 대도시 유출에 대해 여러 대안을 찾아보지만 마땅한 해결 방안을 찾지 못해 안타까운 실정이다.

그런데 아직 가시적 효과를 보여 주지 못하는 지방의 인구 감소에 대한 정부의 정책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지방의 입장에서 보면 너무 수동적이고 중앙의 일방적 정책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정책이 입안되고 실행에 옮겨지기까지 지방의 행정이 개입할 여지가 별로 없다. 인구 증가의 가장 큰 효과를 가져온다 하는 기업의 지방 이전 또한 시장 경제의 논리를 내세워 그리 녹녹치 않다. 따라서 지방이 좀 더 적극적으로 능동적인 유출 차단방안을 나름대로 강구하고 널리 알려야 한다. 그 요체는 바로 경제적 환경 교육 문화적 여건에서 양적 열세를 극복하기 위해서 수도권이 갖지 못한 지방 도시의 생활 장점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그 핵심은 시간과 비용, 삶의 질을 높이는데 유리한 지방 생활에 대해 적극적인 대안을 만드는 것이다. 도로와 운송수단이 발달하고 정보 통신의 대중화로 인해 전국이 동시간대 생활이 어느 정도 가능한 현실에서 이런 방안은 어쩌면 더 쉬운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가령 수도권에서 소요되는 왕복 두 시간 남짓한 출퇴근 시간에 대한 보상을 지방 도시는 누리고 있으며 도심에서부터 30분 내외면 자연과 접할 수 있는 주변 환경은 인간이 지향하고자하는 삶의 행태에 가장 바람직한 조건일 수도 있다. 물론 교육이나 문화적인 면에서 다소 열악한 조건이 비교되고는 하지만 어디 수도권에 사는 사람일지라도 모든 사람이 항상 특별한 혜택을 누린다는 보장은 하기 어렵다. 지방에 살더라도 일년에 몇 번 남짓한 문화 충족은 언제든 가능할 뿐더러 교육의 기회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대도시에서는 주택  비용도 적잖이 압박을 받지만 중소도시에서는 부담이 덜하다. 또 대도시에 살면서 부담하는 간접 비용이라는 것도 만만치 않다. 교통정체로 가중되는 유류대를 포함해 높은 물가, 사교육 비용 등을 감안하면 같은 돈일지라도 경제적 여유로 보면 지방 살림이 나을 수 있다. 이런 근거로 지방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일은 좀 더 여유로운 삶을 위해 휴양과 레저, 복지 편의 등에 과감한 투자를 하는 것이다.

결론은 수도권이 갖지 못한 조건에 대해 우위를 확보하고 지방생활이 더 윤택하다는 자신감과 긍지를 갖게 하는 것이다. 최근 어느 취업 사이트가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삶의 여유와 자아실현을 위해 응답자의 70%가 다운 시프트 족이 되길 원한다는 결과가 있었다. 지방의 인력 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로 음미 해 볼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충청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