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143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선조들의 식재(植栽) 지혜--이세열 < 주성대학 문헌정보과장 > 올 4월 5일은 제65회 식목일이다. 식목일은 조선 초기 태조 때부터 음력 3월 10일(양력 4월 5일)에 선농단(先農壇:풍년을 기원하는 제단)에서 적전(籍田:임금이 친히 경작하는 논밭)을 가꾸던 의식에서 유래됐다. 또한 구한말 순종황제께서도 1910년 4월 5일에 친경(親耕)과 함께 손수 나무를 심은 날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에서는 해방 이듬해인 1946 이세열 칼럼 | 충청매일 | 2010-04-08 00:00 생명의 근원 물을 보호하자--이세열 < 주성대학 문헌정보과장 > 물은 생명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나 대수롭지 않게 여겨진다.오늘날 지구의 약 40%는 물 부족 문제로 고생하고 있다.이달 22일은 UN이 지정 선포한 제18회 ‘세계 물의 날’이다.UN에서는 1992년부터 ‘세계 물의 날’에 매년 행사 주제를 정하고 지구촌 차원의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우리나라 조선 후기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 물을 팔았다는 설 이세열 칼럼 | 충청매일 | 2010-03-25 00:00 지역 정보센터로서 공공도서관의 역할--이세열 < 주성대학 문헌정보과장 > 21세기 문화시대의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정보센터이자 커뮤니케이션 센터로, 시민의 활동을 형성하는 인프라이다. 직지의 고장 청주시는 이 달 중으로 상당구 수동에 위치한 상당도서관을 개관할 예정이라 한다.이렇게 되면 청주시의 공공도서관은 현재까지 모두 9개 관으로, 인구 대비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도서관 보유 비율을 갖게 됨에 따라 교육도시로서 전혀 손색이 없 이세열 칼럼 | 충청매일 | 2010-03-11 00:00 새해 문안단자(問安單子)--이세열 < 주성대학 문헌정보과장 > 우리 민족은 예의를 존중해 새해를 맞아 인사를 차리는 문안단자(問安單子·임금이나 웃사람에게 문안을 드릴 때 올리는 문서)와, 전자우편이 대중화되기 전까지는 연하장으로 서로의 안부를 묻곤 했다.조선시대 말기까지 사용했던 문안단자는 정성껏 붓글씨로 썼으며, 인쇄된 각양각색의 연하장이 범람했던 시절에는 화가가 직접 그린 그림이나 목판화(木版畵)가 인기를 끌었다. 이세열 칼럼 | 충청매일 | 2010-02-25 00:00 처음처음이전이전12345678끝끝